우연한 기회에 어떤 회합에 참여했다가 자기의 경험·지식, 생활 TIP을 여러 사람들에게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한 적이 있다. 그때는 내가 다른 사람들과 나눌만한 게 없다고 생각을 하였는데 지금에 와서 문득  '한글'에 대해서라면 내가 몇 마디 이야기 하고픈 내용이 있음을 생각해 냈다. 평소 테레비나 인터넷에서 우리말과 우리글 얘기가 나올 때마다 한 마디 거들었으면 했던 생각들이 있다. (어쩌면 이 생각들이란 게 보통사람의 작고 얕은 이야기일 수도 있고 이미 많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이야기를 다시 중언부언하는 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이를 읽는 이들에게 먼저 너그러운 양해를 구한다.) 짧고 조잡한 글솜씨로나마 두서없이 몇 차례 적어본다. 

 

 오래 전부터 매스미디어(mass media)에서 우리 말글 이야기를 다룰 때  한국어와 한글을 구별하지 못하고 뒤죽박죽 섞어 쓰고 있다는 생각을 종종 한다. 대표적인 게 케케묵었건만 되풀이되는 '국한문(國漢文) 혼용'과 '순한글 전용' 논쟁이다. 본질은 우리말인 한국어에 있는데 논쟁은 이름처럼 '문자표기방식' 문제로 삐딱선을 타다보니 논쟁의 내용도 한국어와 한글의 개념이 혼재한 채 유익함이 없는 논박으로 그치기 쉽상이다. 또, 한글날이면 으레 신문기사, 칼럼과 TV방송 프로그램에서 하는 이야기, 외국인의 한국관광이나 다문화가정의 일상을 소개하는 유튜브에서 광화문 세종대왕상을 구경하다가 꺼내는 이야기가 한글을 이야기하는 것인지 한국어를 이야기하는 것인지 헷갈릴 때도 많다.

 

한국어와 한글은 다르다. 당연한 얘기지만 한국어는 말이고 한글은 글자다. 한글이 만들어지기 훨씬 전부터 한국어는 이미 사용되고 있었다. 그런데 지금은 이 당연한 상식조차 혼동되는 세상이 된 거 같다. 그러다보니 일본식 한자말과 인터넷 줄임말, 외국말 남용 등이 난무하는 언어생활도 순한글로만 읽고 쓰면 저절로 우리말 사랑이 되는 줄 아는 게 아닌가 싶다.

 

제도권(행정, 법률, 언론, 교육, 도서·출판 등등)에서 자주 쓰는 말과 글에는 민초들이 평소에는 잘 쓰지 않는 일본식 한자말이 많다. 행정민원서식이나 법률조문이 아무리 순한글로 되어 있어도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까닭이다. 이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쉽게 접하는 TV방송이나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말과 글은 '-은,-는,-이,-가' 같은 조사나 '-하다'정도의 말을 빼면 거의 한자말이나 영어 등을 이용한 명사형 단어들로 나열된 느낌을 많이 받는다. 주류사회에서 우리가 쓸 수 있는 한국어가 그렇게 빈곤한 것일까?

 

내가 어렸을 때 한국어를 첨가어, 교착어 운운하며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라고 배웠다. 그러면서 한국어의 특징으로 꼽은 것이 동사·형용사 같은 용언과 의태어·의성어 같은 부사의 발달이었다. 이는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의 증언에서도 자주 드러난다. 일례로 '맵다'라는 말을 영어에서 'hot'이나 'spicy' 정도로 표현할 때 우리는 '맵다, 매콤하다, 얼큰하다, 칼칼하다, 알싸하다, 얼얼하다, 아리다...' 등 여러가지 어감으로 표현하는 낱말이 많다. 의태어와 의성어를 보더라도 '화들짝, 폴짝, 성큼성큼, 알콩달콩, 쩝쩝, 짭짭, 살랑살랑, 맨들맨들, 도란도란, 왁자지껄...' 처럼 다양한 표현을 가지고 있다. 이런 우리말 고유의 장점을 잘 살려쓸 수는 없을까?

 

90년대에 대전에서 엑스포(EXPO)라는 국제적인 행사를 할 때에 '도우미'란 말이 처음 생겨났다. 행사를 기획하고 주최하는 엘리트들이 만들었을 것인데 '젊은이, 늙은이, 어린이' 같은 우리말을 생각하면 이는 어법에 맞지 않는 잘못된 말이다. 우리말 어법대로 한다면 '도우미'가 아니라 '돕는이/도울이' 정도가 되어야 옳다. 반면에 90년대에 유행하던 물건인 무선호출기를 부르는 이름인 '삐삐'가 있었다. 무선호출기의 호출음인 의성어 '삐삐'가 물건 이름이 된 것인데 어디서 만들고 시작한 이름인지 몰라도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무선호출기 이름이었다. 아마도 우리말의 특성을 잘 살린 까닭에 민초들 사이에서 자연스레 사용빈도가 높아지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지나온 역사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언어생활이 영향을 받는 건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그러나 그 변하는 세태가 본래 가진 우리말 표현을 잠식하고 우리말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 채 우리말 어법을 자꾸 망가뜨리고 있다면 그건 문제가 아닐까?

 

【출처】 Unsplash 의 Mathew Schwartz

블로그 이미지

想多

자유롭게 글쓰기

,

우연한 기회에 어떤 회합에 참여했다가 자기의 경험·지식, 생활 TIP을 여러 사람들에게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한 적이 있다. 그때는 내가 다른 사람들과 나눌만한 게 없다고 생각을 하였는데 지금에 와서 문득  '한글'에 대해서라면 내가 몇 마디 이야기 하고픈 내용이 있음을 생각해 냈다. 평소 테레비나 인터넷에서 우리말과 우리글 얘기가 나올 때마다 한 마디 거들었으면 했던 생각들이 있다. (어쩌면 이 생각들이란 게 보통사람의 작고 얕은 이야기일 수도 있고 이미 많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이야기를 다시 중언부언하는 지도 모르겠다. 그렇다면 이를 읽는 이들에게 먼저 너그러운 양해를 구한다.) 짧고 조잡한 글솜씨로나마 두서없이 몇 차례 적어본다. 

 

 한국사람들에게 한글의 글자수---알파벳(Alphabet) 또는 자음, 모음의 갯수---가 몇 개냐고 묻는다면 과연 사람들은 뭐라고 대답을 할까? 만약에 나한테 이 질문을 던진다면 내 대답은.... '무한(無限)하다'가 되겠다.

 

무한(無限)이라... 우리가 얼핏 생각하면 자음 14개(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와 모음 10개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를 합해서 한글 글자수는 24개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만들 때 사람의 입모양, 발음기관을 본따 아음(牙音: ㄱ), 설음(舌音: ㄴ), 순음(脣音: ㅁ), 치음(齒音: ㅅ), 후음(喉音: ㅇ) 과 하늘·땅·사람(天·地·人)을 본떠 ㆍ, ㅡ, ㅣ같은 글자를 만들었다. 여기에 가획(加劃)의 원리를 적용한 ㅋ, ㄷ, ㅌ, ㅂ, ㅍ, ㅿ, ㅈ... ㆁ,과 음양(陰陽)의 원리를 적용한 ㅏ, ㅓ, ㅗ, ㅜ를 합해 기본글자 28개라 하였다. 기본(基本)글자 28개!!

 

세종대왕은 한글 글자수가 모두 28개라고 하지 않고 '기본(基本)'이라고 하였다. 즉, 다시말해 기본글자 28개를 가지고 얼마든지 새로운 글자를 추가해 쓸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실제로 훈민정음으로 쓰인 옛날 문헌에서 지금은 쓰지 않는 ㆅ, ㅭ, ㅴ, ㅱ, ㅸ, ㆎ 등의 글자를 볼 수 있고 지금 쓰는 ㄲ, ㅆ 같은 쌍자음과 ㄼ, ㄶ 같은 겹받침에서도 훈민정음 28개 사용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 여기서 새삼 세종대왕이 사람의 입모양과 발음을 본떠 글자를 만든 이유가 가늠이 되고 한글의 위대함을 깨닫게 되지 않는가?

 

현대사회가 지구촌으로 글로벌(Global)화함에 따라 일상에서도 영어 등 다국적 언어 사용이 낯설게 느껴지지 않는다. 따라서 외국어를 정확하게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도 필요해진다. 이때 현대 한글자모 24개에 갇혀 부정확한 외래어표기를 할 게 아니라 위대한 조상의 문자창제 정신을 이어받아 [p]와 [f]를 구별하고 [ɵ]와 [ð]를 구별하는 한글 글자를 만들어 봄이 어떠한가?

 

각자병서(各自竝書), 합용병서(合用竝書), 연서(連書) 등의 제자원리를 적용한 옛한글

블로그 이미지

想多

자유롭게 글쓰기

,

【출처】 PIXABAY

꽃이[꼬시] 피었다. / 솥을[소슬] 태웠다.

텔레비전을 보다 보면 방송에 나오는 사람들 입에서 이런 말을 자주 듣는다. 틀린 발음이다. [꼬시]가 아닌 [꼬치], [소슬]이 아닌 [소틀]이라고 발음해야 옳다. 저들의 말대로 따른다면 한글도 '꽃 / 솥' 대신에 '꼿 / 솟'이라고 써야 할 판이다.

 

어쩌다 우리의 말글살이가  제대로 읽고 발음하는 일조차 이렇게 망가져 버린 지경에 이르렀나 싶다. 사실 우리 언어생활의 문제가 비단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행정과 법률에서 사용하는 딱딱하고 어려운 한자말,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의 남용, 젊은 세대가 은어처럼 쓰는 인터넷줄임말, 우리말 어법을 해치는 신조어 등등... 

 

우리가 잘못되고 오염된 말글살이를 무책임하게 하다보니 모국어로 한국말을 쓰고 자란 아이들이 우리말 문법과 규칙을 이해하는 일마저 어려워졌다. 가령, '솥+이'를 ' [소시] '라고 발음하며 자란 아이가 학교에 가서 배우는 ' [소치]'라는 구개음화 현상은 얼마나 낯설고 난해한 언어규칙일 텐가?

 

꽃이 [꼬시] [꼬치] 피었다. / 솥을 [소슬] [소틀] 태웠다.

 

블로그 이미지

想多

자유롭게 글쓰기

,

【출처】 MBC 제20대 대통령 선거방송 (2022.03.10)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윤 · 석 · 렬(열)…

그런데 대통령 이름이 윤석렬일까, 윤석열일까?

뉴스매체를 보면 '윤석열'이라는 표기를 많이 쓴다. 그런데 앵커나 평론출연자들은 대통령 이름을 '윤석렬'로 발음한다.

글자의 표기와 말소리가 일치하지 않는 잘못을 저지르고 있다.

 

만약 '윤석열'이라는 표기가 맞다면 우리는 이를 [윤서결]로 읽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세번째 글자 '열'에서 음가가 없는 초성자음 'ㅇ' 대신에 앞 글자 '석'의 받침 'ㄱ'을 이어지는 음절의 첫소리로 발음하기 때문이다. (이를 연음법칙이라고 한다.)

 

그러나 대통령 이름을 '윤석열'이 아닌 '윤석렬'이라고 표기한다면 우리는 이를 [윤성녈]이라고 읽어야 한다.

발음을 따져보면 두번째 음절 ' [석] '의 끝소리 'ㄱ'과 세번째 음절 ' [렬] '의 첫소리 'ㄹ'음이 각각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붙어서 소리가 난다. 우리는 이럴 때 동화라는 음운변화를 거쳐서 발음하게 된다. 즉, 'ㄱ'음과 'ㄹ'음을 유성음 'ㅇ'과 'ㄴ'으로 바꾸어 발음하기 때문이다. (이를 자음접변 또는 자음동화, 역행동화, 상호동화, 불완전동화라고 한다.)

 

'윤석열'은 ' [윤서결] '로 '윤석렬'은 ' [윤성녈] '로 발음하는 게 맞다.

블로그 이미지

想多

자유롭게 글쓰기

,

이런 사람이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조이서: 
그래도 지금만 한번 참고 넘어가면 다 해결될 수... 

박새로이:
지금 한버언!!
지금만 한번, 마지막으로 한번!
또, 또 한번!
하아... 순간엔 편하겠지...
근데, 말이야... 그 한번들로 사람은 변하는 거야!

【출처】 JTBC 드라마 「이태원클라쓰」 명장면 클립 3회 (2020.02.07)

 

조이서:
나는... 사장님이 손해보는 거 싫다구요.

박새로이:
건물에서 쫓겨나? 손해가 억이야?
장가(長家)는 적이야.
적이 나를 공격하는 건 당연한 일이야.
언젠가 겪을 일, 대수롭지도 않아.
근데, 지금 내가 화가 나는 건 내 편이라고 생각한 너 때문이라구!

조이서:
나는... 나는 다 사장님 위해서... 사장님 생각해서...

박새로이:
왜~애... 날 위한다고 하는 행동이... 내 사람들을 자르는 거냐고...?

【출처】 JTBC 드라마 「이태원클라쓰」 명장면 클립 8회 (2020.02.22)

'글쓰기 >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찍을 놈이 없다  (0) 2022.01.08
3.2%의 목소리  (0) 2020.04.17
[재업로드] 국민기본소득제도가 나에게 주는 상상력  (0) 2020.03.26
열려라 희망! 열려라 행복!  (0) 2020.03.06
블로그 이미지

想多

자유롭게 글쓰기

,

20대 대통령선거 유력 예비후보들

찍을 놈이 없다.

이재명을 찍으려고 했지만 갈수록 그의 행보가 꼬여간다.

추미애를 중추역할로, 유능하고 개혁적인 인물들을 캠프 적재적소에 임명하길 바랐지만 그는 신속한 행정지원을 명분으로 재난기본소득 입장을 철회하고 조국문제를 사과했다. 불분명한 아들도박논란을 성급하게 인정해 버렸고 이낙연과 '원팀'을 부르짖는다.

여론에 떠밀려 한번 취소했던 페미니스트 유튜버 출연을 기어코 성사시켰다.

그에게 실망스럽고 화가 난다. 

 

청년배당이란 보편복지를 시행하고 정치공작을 일삼는 조선일보를 폐간하겠노라 말하며 세월호참사 추모뱃지를 떼라는 여성한테 '어머님 자식이 죽어도 그런 말 하겠냐' 일갈하던 이재명을 미래의 대통령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손바닥 뒤집듯 언제든 기본소득제도를 유보하고 주류기득권세력의 눈치를 보느라 정치개혁의 의지를 굽히고 페미니즘에 휘둘려 새로운 지옥을 보태기만 하는 사람이라면 굳이 그를 찍을 필요가 없다. 

 

에효…

차려진 밥상에 빈그릇만 나뒹군다… 

 

 

 

블로그 이미지

想多

자유롭게 글쓰기

,